본문 바로가기

미디어/보도자료

지난해 가구 소득 113만원 늘 때, 원리금상환액 130만원 증가

161221_[제윤경의원 보도자료]지난해 가구 소득 113만원 늘 때, 원리금상환액 130만원 증가.hwp




20161221()

 

지난해 가구 소득 113만원 늘때 원리금상환액 130만원 증가

 

- 빚 있는 가구 100만원 벌어 33만원 빚갚아

- 빚 있는 자영업가구 100만원 벌어 42만원 빚갚아

제윤경 의원, “부채를 통한 경기부양은 최악의 민생파탄정책

 

국회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 해 가계의 소득보다 원리금상환액이 더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가구의 평균소득은 4,883만원으로 20144,770만원에 비해 2.2%(113만원)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원리금상환액은 941만원에서 1,071만원으로 13.7%(130만원) 증가했다. 소득은 찔끔 늘어난 데 비해, 빚 갚는데 쓴 돈은 훨씬 많이 늘어 가계가 갈수록 곤궁해지고 있는 셈이다.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3,927만원에서 4,022만원으로 2.4%(95만원) 늘었다. 가계의 빚 상환부담 정도를 나타내는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원리금상환부담률)26.6%로 전년보다 2.6%포인트 상승했다. 사상 최저의 저금리 기조에도 가계의 빚 상환 부담은 전혀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것이다.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비율도 20163월 기준 165.4%로 전년대비 6.1% 포인트 증가해 가계의 빚 상환 능력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리금상환부담률은 박근혜 정부 3년 동안에만 7.5%포인트 급증했다. 지난 3년 동안 가처분소득은 가구당 371만원(10.2%)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원리금상환액은 374만원(53.7%) 증가했기 때문이다. 늘어난 소득보다 더 많은 돈을 빚 갚는데 사용하고 있어 소비여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빚 있는 가구(부채가구)2015년 평균소득은 5,728만원으로 20145,578만원에 비해 150만원(2.7%) 늘어났다. 이들의 가처분소득은 4,511만원에서 4,635만원으로 124만원(2.7%) 증가했다. 원리금상환액은 1,341만원에서 1,548만원으로 207만원(15.4%) 급증했다. 따라서 원리금상환부담률은 20163월말 기준 33.4%로 전년대비 3.7%포인트 상승했다. 빚 있는 가구는 매월 가처분소득의 1/3을 빚 갚는데 쓰고 있는 셈이다.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222.7%까지 올라 2년 치 소득을 전부 모아도 빚을 갚을 수 없는 상황에 내몰리게 되었다.[2 참조]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빚 있는 자영업가구의 원리금상환부담률은 42.4%로 전년대비 6.5%포인트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은 5,011만원으로 전년대비 61만원(1.2%) 늘어나는데 그쳤으나, 원리금상환액은 2,126만원으로 전년대비 349만원(19.6%)이나 불어났기 때문이다. 한 달 평균 177만원을 빚 갚는데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의 금융부채는 전년대비 858만원(9.2%) 늘어나 평균 1222만원으로 처음으로 1억원을 넘어섰다.

 

가계의 빚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획재정부는 보도참고자료’(‘2016 가계금융복지조사 주요 내용과 시사점)를 배포하면서, “원리금상환액 비중 증가는 원리금 분할상환 관행 정착 등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개선에 기인한 측면이 크다며, 빚 상환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국민의 인식과는 한참 동떨어진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분할상환이 늘어나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가 개선되었다면, 가계의 빚이 줄어들어 빚 상환여력은 증가하고 상환부담은 감소해야 할 것이다.

 

이에 제윤경 의원은 가계의 빚 부담이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보다 두 배 넘게 심각한데도,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가 개선되었다는 엉뚱한 소리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빚을 늘려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정부정책은 최악의 민생파탄정책 이라면서, 부채가 아니라 소득 중심으로 경제정책을 근본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위: 만원, %)

구분

경상소득

가처분소득

부채

원리금상환액

부채/

가처분소득

원리금상환액/

가처분소득

2012

4233

3476

5450

596

156.8

17.2

2013

4479

3651

5858

697

160.5

19.1

2014

4658

3819

6051

830

158.4

21.7

2015

4770

3927

6256

941

159.3

24.0

2016

4883

4022

6655

1071

165.4

26.6

[1] 최근 5년간 전체 가구의 재무건전성

 

(단위: 만원, %)

구분

경상소득

가처분소득

부채

원리금상환액

부채/

가처분소득

원리금상환액/

가처분소득

2012

4956

3980

8365

887

210.1

22.3

2013

5168

4123

8738

1012

212.2

24.5

2014

5405

4350

9186

1187

211.2

27.3

2015

5578

4511

9679

1341

214.6

29.7

2016

5728

4635

10324

1548

222.7

33.4

[2] 최근 5년간 부채가구의 재무건전성

 

(단위: %)

구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체

2012

16.0

16.4

18.8

16.7

17.1

17.2

2013

16.6

21.2

19.7

19.6

18.3

19.1

2014

24.2

24.2

24.5

21.2

20.3

21.7

2015

24.3

26.0

24.5

25.5

22.5

24.0

2016

19.7

26.9

26.4

28.7

26.1

26.6

[3] 최근 5년간 소득분위별 원리금상환액부담률 추이

 

(단위: %)

구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체

2012

45.3

26.1

25.4

21.4

20.6

22.3

2013

42.2

35.3

26.0

23.9

22.5

24.5

2014

61.8

36.6

31.8

25.4

24.0

27.3

2015

52.4

39.3

32.0

31.0

26.0

29.7

2016

41.6

40.9

34.5

35.4

30.5

33.4

[4] 최근 5년간 부채가구의 소득분위별 원리금상환액부담률 추이